통합검색
뉴스광장 검색결과
-
-
전남도, 7년 연속 일자리 우수 자치단체로 선정
- 전라남도는 6일 고용노동부 주최로 대전 호텔ICC에서 열린 ‘2021 전국 지방자치단체 일자리 대상 시상식’에서 일자리 공시제와 우수사업 2개 분야에서 각각 우수상을 수상, 7년 연속 일자리 우수 자치단체로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이와 함께 일자리 분야에서 광양시·강진군은 최우수상을, 여수시·영광군은 우수상을, 나주시·장성군은 특별상을 받았다. 이로써 전남도와 시군의 일자리 사업이 정부로부터 인정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일자리 창출을 위한 도와 시군 간 연계 및 협력이 정착한 것으로 확인됐다. 2010년부터 시작된 이 시상식은 일자리 창출에 대한 지역의 책임성·자율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전국 모든 자치단체를 대상으로 하며, 전년도 일자리대책의 성과 등을 평가하는 일자리 공시제와 지자체에서 직접 추진하는 우수사업 분야로 나눠 시상한다. 전남도는 모든 역량을 일자리에 집중하고 적극적인 투자유치 등에 힘쓴 결과 2019년과 비교해 2020년 고용률 0.5%p, 청년고용률 0.5%p, 여성고용률 0.3%p가 오르고, 실업률은 0.2%p 내려간 것으로 조사됐다. 주요 고용지표가 호전되면서 전국 최상위권을 유지함에 따라 정량평가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정성평가에서는 자치단체장의 일자리 대책 추진 의지와 일자리 핵심사업이 좋게 평가됐다. 김영록 전남도지사의 지시로 도는 ‘전라남도 기업 및 투자유치 촉진 조례’를 개정, 대규모 기업 유치를 통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기업에 최대 1천억 원을 지원할 수 있도록 했다. 전력기술교육센터 및 순천만 잡월드(호남권 직업체험센터) 건립, 일자리 재단 설립 등 새로운 일자리 창출 기반 마련을 위한 인프라 구축에도 힘을 쏟았다. 특히 지난해부터 세계적으로 유행한 코로나19 대응 방안을 선제적으로 추진해 청정 전남 이미지를 구축해 높은 점수를 받았다. 전남의 지속가능한 성장 동력인 ‘청정 전남 블루 이코노미’ 사업, 전남형 상생일자리 모델인 ‘신안 8.2GW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 학교급식 친환경농산물 꾸러미 사업 등 5개 우수사업도 좋은 평가를 받았다. 전국 롤모델인 친환경농산물 꾸러미 사업은 선도적 일자리 정책으로 평가위원들로부터 관심을 받았다. 이건섭 전남도 일자리경제본부장은 “장기간 지속되는 코로나19 사태로 경기 침체와 고용 위기가 계속돼 막중한 책임감을 느끼고 있다”며 “시군과 함께 고용안정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 최선을 다해 노력함으로써 전남의 일자리 정책이 전국 롤모델이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원문보기: http://www.sportsseoul.com/news/read/1051245?ref=naver#csidx21859cb1fad57f7a06d9bad1701a3c7
-
- 뉴스광장
- 행사,박람회
-
전남도, 7년 연속 일자리 우수 자치단체로 선정
-
-
경기도, 예방부터 재취업까지 전방위 해결 나선다
- 경기도가 여성의 경력단절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격적으로 나선다. 특히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지원뿐만 아니라 경력단절 자체를 사전 예방하는 데에도 역점을 두고 대책을 세워 주목된다. 경력단절 후 재취업 시 불가피하게 일자리의 질이 하락하는 현상에 주목한 결과다. 우선, 도는 여성의 경력단절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상담과 교육을 비롯, 일생활 균형에 대한 인식 제고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이를 위해 노무사, 상담사 등 8인의 분야별 전문가 지원단이 일하는 여성의 고충상담 및 커리어 코칭을 집중 지원하고, 일생활 균형 등을 주제로 희망 기업과 지역의 워킹맘을 찾아가는 맞춤형 교육도 실시한다. 이때 아이돌봄 서비스를 지원하는 등 수요자 중심의 실질적 편의를 제공해 실효성을 높일 계획이다. 또 수요자의 일생활 균형을 도움으로써 경력단절 예방과 중장년층의 일자리 창출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사업도 펼친다. 자녀를 양육하는 맞벌이 가정과 같이 가사서비스가 필요한 이들과 공급업체를 연결해주는 ‘일생활 균형 지원 플랫폼’을 구축해 연내에 서비스를 개시하고, 여성새로일하기센터(이하 ‘새일센터’)에서 양성한 정리수납전문가를 맞벌이 가정에 연계하는 ‘주거공간개선 지원사업’ 시범운영이 그것이다. 일생활 균형을 주제로 하는 캠페인, 공모전, 인식조사 등을 통해 여성경력단절 예방을 위한 인식 제고에도 힘을 기울일 예정이다.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 지원’ 정책도 한층 업그레이드한다. 경력단절여성 지원기관인 새일센터 사업의 기능과 역할을 확대해 기존 사업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기로 했다. 이는 도 여성고용률이 30대에서 하락했다가 40대에 상향하는 전형적인 M-커브 형태를 띠는 데다 새일센터를 통한 재취업자 중 76.6%(‘17년)가 40대 이상에 편중돼 있는 데 따른 것이다. 도는 새일센터를 취업상담부터 취업 후 사후관리까지 명실상부한 취업지원 원스톱 종합서비스 제공기관으로 정비하고 특화된 맞춤형 프로그램 3종을 추진한다. 고학력·고숙련 경력단절여성을 위해서는 소프트웨어 코딩과정, 이모티콘 크리에이터, 웹디자이너 실무 프로젝트 등 전문분야 및 신 유망직종으로의 진입을 돕는 심화과정을 운영한다. 교육훈련 후 즉시 입직이 어려운 강사형·창업형·기술숙련형 사업공동체에는 심화학습 및 실습의 기회를 제공하는 ‘경력단절여성 디딤돌 취업지원’ 사업을 이어나간다. 또 해당 사업을 통해 설립된 협동조합에 컨설팅 등 경영개선을 지원하는 사후관리 사업도 새롭게 마련했다. 당장의 생계형 일자리가 필요한 중장년 여성에게는 단기특강 후 신속히 취업을 알선하는 지원책도 실시한다. 이밖에도 HACCP 전문인력 및 실버건강관리사 양성, 군인가족 맞춤형 취업교육 등 각 지역특성과 직종을 반영한 맞춤형 교육으로 재취업을 지원할 계획이다. 경력단절 여성의 고용을 장려하기 위해 인센티브도 제공한다. 새일여성인턴 제도를 통해 경력단절 여성을 고용하는 기업에 1인당 최대 300만원(기업 240원, 인턴 60만원)을 지원하기로 한 것이다. 전기송 경기도 여성정책과장은 “여성의 경력단절은 사회적 비용을 초래할 뿐 아니라 저출산과도 결부돼 있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인식하고 있다”며 “불가피하게 직업을 포기했던 경력단절여성의 사회복귀 지원은 물론 사전 예방까지 전방위적 해결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
- 뉴스광장
- 고용정책
-
경기도, 예방부터 재취업까지 전방위 해결 나선다
직업동향 검색결과
-
-
고창군 민선7기 일자리종합계획 본격추진
- -고창군 민선7기 일자리종합계획 발표..4년간 1284억 투자, 일자리 1만4천개 창출-농생명 식품산업, 역사문화·생태관광 주력.. “모두 함께 잘사는 고창 만들 것” 민선 7기 고창군이 ‘농생명문화 살려 함께 잘사는 고창’을 비전으로 향후 4년간 1284억원을 투자할 일자리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17일 고창군에 따르면 이날 ‘고창군 민선 7기 일자리 종합계획(2019~2022년)’을 발표하고, 현재 71%대에 머물고 있는 고용률을 4년 뒤 73%까지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고창군 일자리종합계획의 5대 추진전략 별로는 ▲농생명 식품산업 일자리 창출 = 농생명산업 육성지원 및 기반조성, 오감만족 삼시세끼 힐링여행 관광 상품화 개발, 농식품 생명산업 산업단지 집중 기업유치 등 679명의 괜찮은 일자리 창출 ▲역사문화·생태관광 기반조성 일자리 창출 = 명품 관광 기반조성, 농촌형 MICE 산업 유치를 통한 일자리, 체험형 레포츠 기반 스포츠 관광 활성화 등 999명의 연관 일자리 창출 ▲지역공동체 활성화 일자리 창출 = 도시재생지원센터 설립 등 중간조직 운영, 사회적기업 육성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제공, 경쟁력 있는 마을기업 육성 등 272명 연관 일자리 창출 ▲시대를 앞서가는 고창형 창업생태계 활성화 = 체류형 농업창업지원센터 운영, 전통시장 청년상인 창업지원 등 808명 일자리 창출 ▲함께가는 공공일자리 및 고용서비스 확대 = 공공근로·공공산림가꾸기, 새일센터 운영을 통한 취업상담, 특성화고 명장육성 등 1만2070명 공공형 일자리 창출 등이다. 군은 이를 위해 2022년까지 1284억원을 투자해 양질의 일자리 1만4000여개를 창출하고 유지해나갈 계획이다. 구체적인 지표로는 현재(지난해 말 기준) 71.2%대의 고용률을 73%대까지 높이고, 특히 청년고용률을 33.5%, 여성고용률을 65%까지 끌어올려 함께 잘사는 고창을 실현할 방침이다. 고창군은 민선 7기 일자리대책 종합계획을 내실 있게 추진하기 위해 제시된 사업들을 전라북도와 정부정책에 반영하고, 관련 산업 육성을 위한 국가예산 확보에 주력할 계획이다. 또 기업유치는 물론, 지역 내 고용관련 각종 협의체와 일자리 유관기관과의 연계활동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유기상 고창군수는 “민선 7기 일자리종합계획은 고창군이 가장 잘할 수 있는 실현가능한 고용정책이 담긴 만큼 일관성 있게 정책을 추진 하겠다”며 “모든 사업을 일자리 관점에서 검토해 지속가능한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함께 잘사는 고창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
- 직업동향
- 취업전망
-
고창군 민선7기 일자리종합계획 본격추진
지역뉴스 검색결과
-
-
전남도, 7년 연속 일자리 우수 자치단체로 선정
- 전라남도는 6일 고용노동부 주최로 대전 호텔ICC에서 열린 ‘2021 전국 지방자치단체 일자리 대상 시상식’에서 일자리 공시제와 우수사업 2개 분야에서 각각 우수상을 수상, 7년 연속 일자리 우수 자치단체로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이와 함께 일자리 분야에서 광양시·강진군은 최우수상을, 여수시·영광군은 우수상을, 나주시·장성군은 특별상을 받았다. 이로써 전남도와 시군의 일자리 사업이 정부로부터 인정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일자리 창출을 위한 도와 시군 간 연계 및 협력이 정착한 것으로 확인됐다. 2010년부터 시작된 이 시상식은 일자리 창출에 대한 지역의 책임성·자율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전국 모든 자치단체를 대상으로 하며, 전년도 일자리대책의 성과 등을 평가하는 일자리 공시제와 지자체에서 직접 추진하는 우수사업 분야로 나눠 시상한다. 전남도는 모든 역량을 일자리에 집중하고 적극적인 투자유치 등에 힘쓴 결과 2019년과 비교해 2020년 고용률 0.5%p, 청년고용률 0.5%p, 여성고용률 0.3%p가 오르고, 실업률은 0.2%p 내려간 것으로 조사됐다. 주요 고용지표가 호전되면서 전국 최상위권을 유지함에 따라 정량평가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정성평가에서는 자치단체장의 일자리 대책 추진 의지와 일자리 핵심사업이 좋게 평가됐다. 김영록 전남도지사의 지시로 도는 ‘전라남도 기업 및 투자유치 촉진 조례’를 개정, 대규모 기업 유치를 통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기업에 최대 1천억 원을 지원할 수 있도록 했다. 전력기술교육센터 및 순천만 잡월드(호남권 직업체험센터) 건립, 일자리 재단 설립 등 새로운 일자리 창출 기반 마련을 위한 인프라 구축에도 힘을 쏟았다. 특히 지난해부터 세계적으로 유행한 코로나19 대응 방안을 선제적으로 추진해 청정 전남 이미지를 구축해 높은 점수를 받았다. 전남의 지속가능한 성장 동력인 ‘청정 전남 블루 이코노미’ 사업, 전남형 상생일자리 모델인 ‘신안 8.2GW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 학교급식 친환경농산물 꾸러미 사업 등 5개 우수사업도 좋은 평가를 받았다. 전국 롤모델인 친환경농산물 꾸러미 사업은 선도적 일자리 정책으로 평가위원들로부터 관심을 받았다. 이건섭 전남도 일자리경제본부장은 “장기간 지속되는 코로나19 사태로 경기 침체와 고용 위기가 계속돼 막중한 책임감을 느끼고 있다”며 “시군과 함께 고용안정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 최선을 다해 노력함으로써 전남의 일자리 정책이 전국 롤모델이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원문보기: http://www.sportsseoul.com/news/read/1051245?ref=naver#csidx21859cb1fad57f7a06d9bad1701a3c7
-
- 뉴스광장
- 행사,박람회
-
전남도, 7년 연속 일자리 우수 자치단체로 선정
-
-
고창군 민선7기 일자리종합계획 본격추진
- -고창군 민선7기 일자리종합계획 발표..4년간 1284억 투자, 일자리 1만4천개 창출-농생명 식품산업, 역사문화·생태관광 주력.. “모두 함께 잘사는 고창 만들 것” 민선 7기 고창군이 ‘농생명문화 살려 함께 잘사는 고창’을 비전으로 향후 4년간 1284억원을 투자할 일자리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17일 고창군에 따르면 이날 ‘고창군 민선 7기 일자리 종합계획(2019~2022년)’을 발표하고, 현재 71%대에 머물고 있는 고용률을 4년 뒤 73%까지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고창군 일자리종합계획의 5대 추진전략 별로는 ▲농생명 식품산업 일자리 창출 = 농생명산업 육성지원 및 기반조성, 오감만족 삼시세끼 힐링여행 관광 상품화 개발, 농식품 생명산업 산업단지 집중 기업유치 등 679명의 괜찮은 일자리 창출 ▲역사문화·생태관광 기반조성 일자리 창출 = 명품 관광 기반조성, 농촌형 MICE 산업 유치를 통한 일자리, 체험형 레포츠 기반 스포츠 관광 활성화 등 999명의 연관 일자리 창출 ▲지역공동체 활성화 일자리 창출 = 도시재생지원센터 설립 등 중간조직 운영, 사회적기업 육성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제공, 경쟁력 있는 마을기업 육성 등 272명 연관 일자리 창출 ▲시대를 앞서가는 고창형 창업생태계 활성화 = 체류형 농업창업지원센터 운영, 전통시장 청년상인 창업지원 등 808명 일자리 창출 ▲함께가는 공공일자리 및 고용서비스 확대 = 공공근로·공공산림가꾸기, 새일센터 운영을 통한 취업상담, 특성화고 명장육성 등 1만2070명 공공형 일자리 창출 등이다. 군은 이를 위해 2022년까지 1284억원을 투자해 양질의 일자리 1만4000여개를 창출하고 유지해나갈 계획이다. 구체적인 지표로는 현재(지난해 말 기준) 71.2%대의 고용률을 73%대까지 높이고, 특히 청년고용률을 33.5%, 여성고용률을 65%까지 끌어올려 함께 잘사는 고창을 실현할 방침이다. 고창군은 민선 7기 일자리대책 종합계획을 내실 있게 추진하기 위해 제시된 사업들을 전라북도와 정부정책에 반영하고, 관련 산업 육성을 위한 국가예산 확보에 주력할 계획이다. 또 기업유치는 물론, 지역 내 고용관련 각종 협의체와 일자리 유관기관과의 연계활동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유기상 고창군수는 “민선 7기 일자리종합계획은 고창군이 가장 잘할 수 있는 실현가능한 고용정책이 담긴 만큼 일관성 있게 정책을 추진 하겠다”며 “모든 사업을 일자리 관점에서 검토해 지속가능한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함께 잘사는 고창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
- 직업동향
- 취업전망
-
고창군 민선7기 일자리종합계획 본격추진
포토뉴스 검색결과
-
-
전남도, 7년 연속 일자리 우수 자치단체로 선정
- 전라남도는 6일 고용노동부 주최로 대전 호텔ICC에서 열린 ‘2021 전국 지방자치단체 일자리 대상 시상식’에서 일자리 공시제와 우수사업 2개 분야에서 각각 우수상을 수상, 7년 연속 일자리 우수 자치단체로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이와 함께 일자리 분야에서 광양시·강진군은 최우수상을, 여수시·영광군은 우수상을, 나주시·장성군은 특별상을 받았다. 이로써 전남도와 시군의 일자리 사업이 정부로부터 인정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일자리 창출을 위한 도와 시군 간 연계 및 협력이 정착한 것으로 확인됐다. 2010년부터 시작된 이 시상식은 일자리 창출에 대한 지역의 책임성·자율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전국 모든 자치단체를 대상으로 하며, 전년도 일자리대책의 성과 등을 평가하는 일자리 공시제와 지자체에서 직접 추진하는 우수사업 분야로 나눠 시상한다. 전남도는 모든 역량을 일자리에 집중하고 적극적인 투자유치 등에 힘쓴 결과 2019년과 비교해 2020년 고용률 0.5%p, 청년고용률 0.5%p, 여성고용률 0.3%p가 오르고, 실업률은 0.2%p 내려간 것으로 조사됐다. 주요 고용지표가 호전되면서 전국 최상위권을 유지함에 따라 정량평가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정성평가에서는 자치단체장의 일자리 대책 추진 의지와 일자리 핵심사업이 좋게 평가됐다. 김영록 전남도지사의 지시로 도는 ‘전라남도 기업 및 투자유치 촉진 조례’를 개정, 대규모 기업 유치를 통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기업에 최대 1천억 원을 지원할 수 있도록 했다. 전력기술교육센터 및 순천만 잡월드(호남권 직업체험센터) 건립, 일자리 재단 설립 등 새로운 일자리 창출 기반 마련을 위한 인프라 구축에도 힘을 쏟았다. 특히 지난해부터 세계적으로 유행한 코로나19 대응 방안을 선제적으로 추진해 청정 전남 이미지를 구축해 높은 점수를 받았다. 전남의 지속가능한 성장 동력인 ‘청정 전남 블루 이코노미’ 사업, 전남형 상생일자리 모델인 ‘신안 8.2GW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 학교급식 친환경농산물 꾸러미 사업 등 5개 우수사업도 좋은 평가를 받았다. 전국 롤모델인 친환경농산물 꾸러미 사업은 선도적 일자리 정책으로 평가위원들로부터 관심을 받았다. 이건섭 전남도 일자리경제본부장은 “장기간 지속되는 코로나19 사태로 경기 침체와 고용 위기가 계속돼 막중한 책임감을 느끼고 있다”며 “시군과 함께 고용안정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 최선을 다해 노력함으로써 전남의 일자리 정책이 전국 롤모델이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원문보기: http://www.sportsseoul.com/news/read/1051245?ref=naver#csidx21859cb1fad57f7a06d9bad1701a3c7
-
- 뉴스광장
- 행사,박람회
-
전남도, 7년 연속 일자리 우수 자치단체로 선정
-
-
고창군 민선7기 일자리종합계획 본격추진
- -고창군 민선7기 일자리종합계획 발표..4년간 1284억 투자, 일자리 1만4천개 창출-농생명 식품산업, 역사문화·생태관광 주력.. “모두 함께 잘사는 고창 만들 것” 민선 7기 고창군이 ‘농생명문화 살려 함께 잘사는 고창’을 비전으로 향후 4년간 1284억원을 투자할 일자리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17일 고창군에 따르면 이날 ‘고창군 민선 7기 일자리 종합계획(2019~2022년)’을 발표하고, 현재 71%대에 머물고 있는 고용률을 4년 뒤 73%까지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고창군 일자리종합계획의 5대 추진전략 별로는 ▲농생명 식품산업 일자리 창출 = 농생명산업 육성지원 및 기반조성, 오감만족 삼시세끼 힐링여행 관광 상품화 개발, 농식품 생명산업 산업단지 집중 기업유치 등 679명의 괜찮은 일자리 창출 ▲역사문화·생태관광 기반조성 일자리 창출 = 명품 관광 기반조성, 농촌형 MICE 산업 유치를 통한 일자리, 체험형 레포츠 기반 스포츠 관광 활성화 등 999명의 연관 일자리 창출 ▲지역공동체 활성화 일자리 창출 = 도시재생지원센터 설립 등 중간조직 운영, 사회적기업 육성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제공, 경쟁력 있는 마을기업 육성 등 272명 연관 일자리 창출 ▲시대를 앞서가는 고창형 창업생태계 활성화 = 체류형 농업창업지원센터 운영, 전통시장 청년상인 창업지원 등 808명 일자리 창출 ▲함께가는 공공일자리 및 고용서비스 확대 = 공공근로·공공산림가꾸기, 새일센터 운영을 통한 취업상담, 특성화고 명장육성 등 1만2070명 공공형 일자리 창출 등이다. 군은 이를 위해 2022년까지 1284억원을 투자해 양질의 일자리 1만4000여개를 창출하고 유지해나갈 계획이다. 구체적인 지표로는 현재(지난해 말 기준) 71.2%대의 고용률을 73%대까지 높이고, 특히 청년고용률을 33.5%, 여성고용률을 65%까지 끌어올려 함께 잘사는 고창을 실현할 방침이다. 고창군은 민선 7기 일자리대책 종합계획을 내실 있게 추진하기 위해 제시된 사업들을 전라북도와 정부정책에 반영하고, 관련 산업 육성을 위한 국가예산 확보에 주력할 계획이다. 또 기업유치는 물론, 지역 내 고용관련 각종 협의체와 일자리 유관기관과의 연계활동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유기상 고창군수는 “민선 7기 일자리종합계획은 고창군이 가장 잘할 수 있는 실현가능한 고용정책이 담긴 만큼 일관성 있게 정책을 추진 하겠다”며 “모든 사업을 일자리 관점에서 검토해 지속가능한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함께 잘사는 고창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
- 직업동향
- 취업전망
-
고창군 민선7기 일자리종합계획 본격추진
-
-
경기도, 예방부터 재취업까지 전방위 해결 나선다
- 경기도가 여성의 경력단절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격적으로 나선다. 특히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지원뿐만 아니라 경력단절 자체를 사전 예방하는 데에도 역점을 두고 대책을 세워 주목된다. 경력단절 후 재취업 시 불가피하게 일자리의 질이 하락하는 현상에 주목한 결과다. 우선, 도는 여성의 경력단절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상담과 교육을 비롯, 일생활 균형에 대한 인식 제고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이를 위해 노무사, 상담사 등 8인의 분야별 전문가 지원단이 일하는 여성의 고충상담 및 커리어 코칭을 집중 지원하고, 일생활 균형 등을 주제로 희망 기업과 지역의 워킹맘을 찾아가는 맞춤형 교육도 실시한다. 이때 아이돌봄 서비스를 지원하는 등 수요자 중심의 실질적 편의를 제공해 실효성을 높일 계획이다. 또 수요자의 일생활 균형을 도움으로써 경력단절 예방과 중장년층의 일자리 창출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사업도 펼친다. 자녀를 양육하는 맞벌이 가정과 같이 가사서비스가 필요한 이들과 공급업체를 연결해주는 ‘일생활 균형 지원 플랫폼’을 구축해 연내에 서비스를 개시하고, 여성새로일하기센터(이하 ‘새일센터’)에서 양성한 정리수납전문가를 맞벌이 가정에 연계하는 ‘주거공간개선 지원사업’ 시범운영이 그것이다. 일생활 균형을 주제로 하는 캠페인, 공모전, 인식조사 등을 통해 여성경력단절 예방을 위한 인식 제고에도 힘을 기울일 예정이다.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 지원’ 정책도 한층 업그레이드한다. 경력단절여성 지원기관인 새일센터 사업의 기능과 역할을 확대해 기존 사업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기로 했다. 이는 도 여성고용률이 30대에서 하락했다가 40대에 상향하는 전형적인 M-커브 형태를 띠는 데다 새일센터를 통한 재취업자 중 76.6%(‘17년)가 40대 이상에 편중돼 있는 데 따른 것이다. 도는 새일센터를 취업상담부터 취업 후 사후관리까지 명실상부한 취업지원 원스톱 종합서비스 제공기관으로 정비하고 특화된 맞춤형 프로그램 3종을 추진한다. 고학력·고숙련 경력단절여성을 위해서는 소프트웨어 코딩과정, 이모티콘 크리에이터, 웹디자이너 실무 프로젝트 등 전문분야 및 신 유망직종으로의 진입을 돕는 심화과정을 운영한다. 교육훈련 후 즉시 입직이 어려운 강사형·창업형·기술숙련형 사업공동체에는 심화학습 및 실습의 기회를 제공하는 ‘경력단절여성 디딤돌 취업지원’ 사업을 이어나간다. 또 해당 사업을 통해 설립된 협동조합에 컨설팅 등 경영개선을 지원하는 사후관리 사업도 새롭게 마련했다. 당장의 생계형 일자리가 필요한 중장년 여성에게는 단기특강 후 신속히 취업을 알선하는 지원책도 실시한다. 이밖에도 HACCP 전문인력 및 실버건강관리사 양성, 군인가족 맞춤형 취업교육 등 각 지역특성과 직종을 반영한 맞춤형 교육으로 재취업을 지원할 계획이다. 경력단절 여성의 고용을 장려하기 위해 인센티브도 제공한다. 새일여성인턴 제도를 통해 경력단절 여성을 고용하는 기업에 1인당 최대 300만원(기업 240원, 인턴 60만원)을 지원하기로 한 것이다. 전기송 경기도 여성정책과장은 “여성의 경력단절은 사회적 비용을 초래할 뿐 아니라 저출산과도 결부돼 있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인식하고 있다”며 “불가피하게 직업을 포기했던 경력단절여성의 사회복귀 지원은 물론 사전 예방까지 전방위적 해결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
- 뉴스광장
- 고용정책
-
경기도, 예방부터 재취업까지 전방위 해결 나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