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뉴스광장 검색결과
-
-
현대건설, 기술교육원-협력사 채용박람회 개최
- 현대건설은 1일 서울 영등포구 대림동 기술교육원에서 협력사를 대상으로 ‘제3회 우수인력 채용박람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현대건설은 업계 최초로 기술교육원 재학생 및 졸업생을 대상으로 구인난을 겪는 협력사와 일자리 매칭 사업을 진행했다. 올해 채용박람회는 토목, 건축, 플랜트, 기계, 구매 분야 25개 협력사와 현대건설 기술교육원에서 실무 과정을 수강한 교육원생 170여 명이 참석한다. 교육원생은 협력사와 직접 교류하면서 근무조건을 비교해 채용기회를 넓히고, 협력사들은 현장 면접을 통해 우수 인력을 사전 검증할 수 있다. 이번 행사를 포함해 지금까지 총 78개 협력사가 참여했고, 약 50여명의 졸업생들이 협력사에 취업했다. 지난해 채용박람회에 참석한 기술교육원 BIM건설관리학과 김대호씨는 “대학을 졸업하고 실무에 대한 교육을 조금 더 받고자 기술교육원에 들어왔는데 취업박람회를 통해 현대건설 주력 협력업체들이 한 자리에 모여 취업 관련 설명과 면접을 바로 진행할 수 있어서 매우 유익했다”고 말했다. 협력사 ㈜순안 김병규 대표이사는 “현재 많은 구직자들이 일자리 찾기에 어려움을 겪는 반면, 건설업체들은 오히려 채용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전문화 교육을 이수한 인재와 직접 대면하고 채용할 수 있게 자리를 마련한 것은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올해 하반기 실시 예정인 제4회 채용박람회에도 우수협력사와 인재들을 적극 매칭 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현대건설 기술교육원은 1977년 개원한 이래 현재까지 약 3만7000여 명의 인재를 배출한 업계 유일의 건설전문 인력양성기관이다. 올해 3월부터 모든 교육과정은 국가기간·전략산업직종(△BIM건설관리 △건설장비관리 △Global HSE △플랜트설계관리 △플랜트전기 △건설품질관리 △빅데이터공정공사관리 △스마트에너지관리 △BIM건설정보관리 △산업보건환경 △전기설비시공실무)으로 운영된다. 교육 소요기간은 5~8개월이며 교육비는 전액 무료다. 해당 과정 수료자는 현대건설 및 동종 타사, 협력사 등에 취업기회가 제공된다.
-
- 뉴스광장
- 행사,박람회
-
현대건설, 기술교육원-협력사 채용박람회 개최
직업동향 검색결과
-
-
법적정년 5년 늘었지만 실제로는 1년만…중장년 고용불안정 여전
- 법적정년이 5년으로 늘어났지만 근로자들의 실제 근속연수는 1년 연장된 것으로 나타났다. ‘60세 정년’의 꿈이 현실에서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뜻이다. 4일 기업평가사이트 CEO스코어가 국내 500대 기업 중 분기보고서를 제출하는 312개 기업의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 2015년말 10.1년을 기록했던 근속연수는 지난해 9월말 현재 11.1년으로 1.0년(10.2%)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정부는 중장년층의 고용안정을 위해 2016년부터 300인 이상 사업장의 정년을 60세 이상으로 의무화했고 2017년부터는 300인 미만 사업장으로 대상을 확대했다. 60세 정년을 법으로 못 박은 이후에도 실제 근속연수가 1년밖에 늘지 않은 것은 기업들이 노동생산성을 이유로 중장년 근로자들의 비자발적 퇴진을 유도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국내 많은 대기업들은 글로벌 경기위축 및 산업재편 등의 여파로 선제적인 인력 구조조정에 나서고 있다. 정년연장으로 기업들의 신규고용은 위축될 것이란 우려가 제기돼 왔는데 실제로 고용효과는 크지 않았다. 조사대상 기업들은 2015년말 125만6,933명을 고용했는데 4년 후인 2019년9월말에는 130만5,206명을 고용해 4만8,273명(3.8%) 늘었다.기업별로는 S&T모티브의 근속연수가 5.7년 늘어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는데 전체 직원수는 같은 기간 910명에서 766명으로 144명(15.8%) 감소했다. 근속연수 증가 2, 3위인 대우건설(5.1년)과 삼성중공업(3.8년)도 직원 수는 감소했다. 같은 기간 직원수 감소는 대우건설 202명(-3.6%), 삼성중공업 3,905명(-27.9%)으로 각각 집계됐다.이밖에 서진오토모티브와 현대건설, 신한카드, 대유에이텍, SK건설, 서울도시가스, 풍산, 금호타이어 등도 근속연수는 3년 이상 늘었지만, 직원 수는 5년 전보다 줄었다. CEO스코어는 “정년이 늘어난 만큼 신규 고용을 축소했고, 30∼40대 조기 퇴직자가 늘어난 영향으로 풀이된다”고 설명했다.반면 근속연수가 줄어든 기업은 고용을 늘렸다. 특히 근속연수 감소 폭이 가장 큰 20개 기업 가운데 고용이 늘어난 기업은 13개사로 절반이 넘었다.근속연수가 가장 많이 줄어든 계룡건설의 경우 근속연수는 10.6년에서 7.2년으로 3.5년 줄었지만, 직원 수는 989명에서 1,385명으로 396명(40.0%) 늘었다.
-
- 직업동향
- 취업전망
-
법적정년 5년 늘었지만 실제로는 1년만…중장년 고용불안정 여전
포토뉴스 검색결과
-
-
법적정년 5년 늘었지만 실제로는 1년만…중장년 고용불안정 여전
- 법적정년이 5년으로 늘어났지만 근로자들의 실제 근속연수는 1년 연장된 것으로 나타났다. ‘60세 정년’의 꿈이 현실에서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뜻이다. 4일 기업평가사이트 CEO스코어가 국내 500대 기업 중 분기보고서를 제출하는 312개 기업의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 2015년말 10.1년을 기록했던 근속연수는 지난해 9월말 현재 11.1년으로 1.0년(10.2%)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정부는 중장년층의 고용안정을 위해 2016년부터 300인 이상 사업장의 정년을 60세 이상으로 의무화했고 2017년부터는 300인 미만 사업장으로 대상을 확대했다. 60세 정년을 법으로 못 박은 이후에도 실제 근속연수가 1년밖에 늘지 않은 것은 기업들이 노동생산성을 이유로 중장년 근로자들의 비자발적 퇴진을 유도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국내 많은 대기업들은 글로벌 경기위축 및 산업재편 등의 여파로 선제적인 인력 구조조정에 나서고 있다. 정년연장으로 기업들의 신규고용은 위축될 것이란 우려가 제기돼 왔는데 실제로 고용효과는 크지 않았다. 조사대상 기업들은 2015년말 125만6,933명을 고용했는데 4년 후인 2019년9월말에는 130만5,206명을 고용해 4만8,273명(3.8%) 늘었다.기업별로는 S&T모티브의 근속연수가 5.7년 늘어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는데 전체 직원수는 같은 기간 910명에서 766명으로 144명(15.8%) 감소했다. 근속연수 증가 2, 3위인 대우건설(5.1년)과 삼성중공업(3.8년)도 직원 수는 감소했다. 같은 기간 직원수 감소는 대우건설 202명(-3.6%), 삼성중공업 3,905명(-27.9%)으로 각각 집계됐다.이밖에 서진오토모티브와 현대건설, 신한카드, 대유에이텍, SK건설, 서울도시가스, 풍산, 금호타이어 등도 근속연수는 3년 이상 늘었지만, 직원 수는 5년 전보다 줄었다. CEO스코어는 “정년이 늘어난 만큼 신규 고용을 축소했고, 30∼40대 조기 퇴직자가 늘어난 영향으로 풀이된다”고 설명했다.반면 근속연수가 줄어든 기업은 고용을 늘렸다. 특히 근속연수 감소 폭이 가장 큰 20개 기업 가운데 고용이 늘어난 기업은 13개사로 절반이 넘었다.근속연수가 가장 많이 줄어든 계룡건설의 경우 근속연수는 10.6년에서 7.2년으로 3.5년 줄었지만, 직원 수는 989명에서 1,385명으로 396명(40.0%) 늘었다.
-
- 직업동향
- 취업전망
-
법적정년 5년 늘었지만 실제로는 1년만…중장년 고용불안정 여전
-
-
현대건설, 기술교육원-협력사 채용박람회 개최
- 현대건설은 1일 서울 영등포구 대림동 기술교육원에서 협력사를 대상으로 ‘제3회 우수인력 채용박람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현대건설은 업계 최초로 기술교육원 재학생 및 졸업생을 대상으로 구인난을 겪는 협력사와 일자리 매칭 사업을 진행했다. 올해 채용박람회는 토목, 건축, 플랜트, 기계, 구매 분야 25개 협력사와 현대건설 기술교육원에서 실무 과정을 수강한 교육원생 170여 명이 참석한다. 교육원생은 협력사와 직접 교류하면서 근무조건을 비교해 채용기회를 넓히고, 협력사들은 현장 면접을 통해 우수 인력을 사전 검증할 수 있다. 이번 행사를 포함해 지금까지 총 78개 협력사가 참여했고, 약 50여명의 졸업생들이 협력사에 취업했다. 지난해 채용박람회에 참석한 기술교육원 BIM건설관리학과 김대호씨는 “대학을 졸업하고 실무에 대한 교육을 조금 더 받고자 기술교육원에 들어왔는데 취업박람회를 통해 현대건설 주력 협력업체들이 한 자리에 모여 취업 관련 설명과 면접을 바로 진행할 수 있어서 매우 유익했다”고 말했다. 협력사 ㈜순안 김병규 대표이사는 “현재 많은 구직자들이 일자리 찾기에 어려움을 겪는 반면, 건설업체들은 오히려 채용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전문화 교육을 이수한 인재와 직접 대면하고 채용할 수 있게 자리를 마련한 것은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올해 하반기 실시 예정인 제4회 채용박람회에도 우수협력사와 인재들을 적극 매칭 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현대건설 기술교육원은 1977년 개원한 이래 현재까지 약 3만7000여 명의 인재를 배출한 업계 유일의 건설전문 인력양성기관이다. 올해 3월부터 모든 교육과정은 국가기간·전략산업직종(△BIM건설관리 △건설장비관리 △Global HSE △플랜트설계관리 △플랜트전기 △건설품질관리 △빅데이터공정공사관리 △스마트에너지관리 △BIM건설정보관리 △산업보건환경 △전기설비시공실무)으로 운영된다. 교육 소요기간은 5~8개월이며 교육비는 전액 무료다. 해당 과정 수료자는 현대건설 및 동종 타사, 협력사 등에 취업기회가 제공된다.
-
- 뉴스광장
- 행사,박람회
-
현대건설, 기술교육원-협력사 채용박람회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