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레저관광 5년간 신규 일자리 3000개 창출"
해수부 '해양레저관광 활성화 대책' 발표
해양관광 7대 권역 구상도 및 권역별 거점 조성안 (제공 = 해수부)
정부가 오는 2023년 해양레저관광객 1000만명 달성을 목표로 권역별 맞춤형 해양레저관광 명소를 조성한다. 정부는 이를 통해 향후 5년간 해양관광분야 신규 일자리 3000개를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해양수산부는 1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홍남기 경제부총리 주재로 열린 '제16차 경제활력대책회의/2019년 제15차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이 담긴 '해양레저관광 활성화 대책'을 확정했다.
이번 대책은 2017년 기준 580만명인 해양레저관광객을 2023년 1000만명으로, 2017년 기준 659만명인 섬 관광 방문객을 2023년 1000만명으로 확대해 해양관광분야에서 3000개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이 목표다.
전 해역을 지리적·환경적 특성에 따라 7개 권역으로 나누고, 권역별 특성에 맞는 해양레저관광 거점을 조성해 한국의 해양레저관광 명소로 육성해 나갈 계획이다. 권역별 거점마다 주제(테마) 콘텐츠를 개발하고, 인공 서핑장, 다이빙풀, 글램핑장 등 권역별 특성에 맞는 주제(테마) 시설도 조성한다.
구체적으로 ▲수도권(도시위락형 마리나) ▲서해안권(해양문화·생태관광) ▲다도해권(섬·연안·어촌 연계 체험) ▲제주권(수중레저) ▲한려수도권(휴양·치유형 체류) ▲동남권(친수문화 선도) ▲동해안권(해양레저스포츠) 등 7개 권역으로 나뉜다.
또 권역별 거점을 중심으로 인근의 마리나 항만, 어촌 마리나역, 어촌뉴딜300사업지, 인근 도서로 이어지는 레저선박 전용 이동경로를 개발해 한반도를 둘러싼 U자형 해양레저관광 코스인 ‘케이오션루트(K-Ocean Route)’를 육성할 계획이다.
체험·체류형 관광 콘텐츠도 강화된다. 기존 어촌관광, 낚시관광 등의 콘텐츠를 내실화하고 최근 경향에 맞는 신규 콘텐츠 개발을 추진한다. 갯벌생물 채취뿐만 아니라 바다해설사와 함께하는 생태학습 등이 가미된 어촌체험관광 콘텐츠를 개발하고, 어촌체험마을을 경관, 체험활동, 숙박 및 음식 등 부문별로 등급화해 서비스 수준 향상을 유도할 계획이다.
이와함께 주제(테마)섬 조성, 섬 연계 관광코스 개발 등 섬 관광 콘텐츠도 확대하고, 신규 콘텐츠 발굴을 위한 해양레저관광 우수 콘텐츠 상품화 및 우수 벤처기업 지원도 이뤄진다.
해양레저관광 4대 핵심 산업도 집중 육성된다. 성장가능성이 높은 해양치유산업, 마리나 산업, 크루즈 산업, 수중레저 산업 등 4대 해양레저관광 산업을 국가 경제의 신성장 동력으로 집중 육성하기 위한 정책도 추진한다.
해양치유 산업 육성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시범거점 조성, 전문인력 양성, 근거법률 제정 등을 추진하는 한편 마리나 산업 활성화 기반 마련을 위해 현재 운영 중인 마리나 34개소(2355선석) 외 추가로 6개소에 거점형 마리나를 조성할 계획이다.
또 크루즈선 대형화 및 기항 확대에 대비해 크루즈 부두·터미널 등을 지속 확충하고 국내 크루즈 수요를 2020년까지 10만명으로 확대하기 위한 국제선사 출범 여건을 조성한다. 아울러 수중레저산업 활성화를 위해 해중경관이 우수한 다이빙 지점을 홍보하고, 개발여건이 우수한 해역(제주·강원 고성)에 다이빙 지원시설을 조성할 계획이다.
친수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해양교육 시범학교, 찾아가는 해양교실을 지속 운영한다. 해양레포츠 체험교실과 생존수영교실 운영을 확대하고 패들보트, 서핑 등 신규 종목도 도입할 예정이다.
최준욱 해수부 해양정책실장은 "해양레저관광 활성화 대책을 차질없이 추진하여 해양레저관광의 잠재력을 일깨우고 해양레저관광산업을 미래 혁신성장산업으로 육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