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4-18(일)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19.05.28 10:44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

경남교육청1.jpg

 

 

 

경남도교육청은 지난 27일 창원기계공업고등학교 시청각실에서 직업계고 관리자 및 교사 110여 명을 대상으로 직업계고 학점제 운영 사례를 공유하는 연수를 실시했다.

이번 연수에서는 2020년 마이스터고등학교에 학점제가 전면 도입되는 것에 대비해 현재 직업계고 학점제를 운영하는 7개 연구·선도학교의 운영 사례, 타 시·도의 운영 사례를 통해 학점제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켰다.


전국의 직업계고 중 학점제 연구·선도학교는 112개교, 경남은 7개교이며, 그중 3개교는 연구학교를, 4개교는 선도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이날 교육부 중등직업교육정책과 박강현 교육연구사가 ‘직업계고 학점제의 추진 배경, 현황, 도입 일정 및 직업계고 학점제 운영 방향’을 비롯한 ‘학과 내, 학과 간, 학교 간, 학교 밖’의 4가지 운영 모형을 자세하게 설명해 교원들이 학점제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됐다.

 

또한, 2018년부터 학점제 연구학교를 운영해 온 경기도 고양고등학교 임미정 교사(교육부 학점제 컨설턴트)는 “2018년 학점제 연구학교 운영의 만족도 조사 결과 학생들은 70%, 선생님들은 76%를 만족한다고 응답했으며, 소통과 협력의 학교 문화가 형성됐다”며 운영사례를 소개했다.

 

금오공업고등학교 김성환 교사는 ‘무학년 선택형 교육과정 운영을 통한 직업계고 학점제 도입 방안’이라는 주제로 마이스터고등학교 운영 사례를 발표해 다양한 학점제 운영형태를 접하는 기회가 됐다. 

 

그밖에도 지난해부터 운영 중인 거제여자상업고등학교, 경남자영고등학교는 1차년도 운영결과 및 2019년 계획을, 올해부터 운영하는 김해건설공업고등학교, 마산공업고등학교, 삼천포공업고등학교, 거제공업고등학교, 한국나노마이스터고등학교는 2019년 운영계획을 발표했다.

곽봉종 도교육청 창의인재과장은 “2020년 마이스터고, 2022년 특성화고 학점제 전면 도입 등 학점제가 안정적으로 운영되어 4차 산업 혁명시대 맞춤형 인재양성의 요람으로 만들기 위한 다양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태그

BEST 뉴스

전체댓글 0

  • 94032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경남교육청, 직업계고 학점제 도입 대비 운영 사례 공유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