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 밖 청소년의 약 절반은 자립을 꿈꾸지만 직업훈련을 받는 경우는 10명중 4명에 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자립 전부터 빚을 지거나 신용불량상태에 놓이는 청소년들도 있어 이들의 자립 및 취업지원을 위한 서비스가 보완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29일 발간한 ‘가정 밖 청소년 자립지원 실태조사’ 에 따르면 가정 밖 청소년의 46%는 자립을 원했다. 가정으로 돌아가길 바라는 경우는 19.6%에 불과했다. ‘가족과의 갈등’(49.7%) 이나 ‘가정 폭력’(24.5%) 등을 피해 가정을 떠난 청소년이 10명 중 7명인 탓이다. 조사는 지난해 6월부터 9월까지 3달간 전국 청소년쉼터 및 청소년사회복지원시설 청소년 730명(남자 384명, 여자 346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가정 밖 청소년의 실제 취업 및 신용상태도 자립과는 거리가 멀었다. 조사 대상 청소년 중 59.3%는 용돈이나 생활비를 벌기 위해 취업을 하거나 아르바이트를 한 경험이 있었다. 그러나 이들 중 20.1%는 ‘집을 나왔다는 편견’ 등으로 인해 구직 시 차별을 당했다고 응답했다. 구직 과정에서 불법ㆍ탈법적 일자리를 경험한 경우도 16%였다. 응답자 중 20.8%가 저축을 하고 있었지만, ‘현재 빚을 지고 있다’거나 ‘신용불량의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경우도 각각 14.6%, 9.1%에 달했다.
이번 연구를 진행한 김희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가정 밖 청소년들은 자신의 미래를 계획하고 준비할 시간적 여유 없이 저숙련, 저임금 일자리를 갖게 된다”며 “이들이 좀 더 단계적으로 자립을 준비할 수 있도록 필요한 지원을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연구위원은 또 이를 위해 가정 밖 청소년들에 대한 진로ㆍ취업지원을 다각화하고 개인 부채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