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4-18(월)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19.07.04 08:33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

 

 

아이낳지 않는 나라.jpg

국민들은 저출생의 최대 원인으로 '일자리'와 '교육비'를 꼽았다. 출산 여성에 대한 직장내 차별, 여성의 경력단절도 주 원인으로 지적됐다. 문화체육관광부가 2017년 7월부터 2019년 6월까지 '저출생 고령화'와 관련한 SNS 게시물 31만여 건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저출생의 원인'으로 '일자리'와 '교육(비)' 등 경제적 요인을 우선 꼽았다. '일자리'와 관련해선 '맞벌이''월급''청년실업'이 가장 많이 언급돼 맞벌이가 불가피하지만 취업이 안 돼 출산을 꺼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산을 고민하고 있는 사람들의 가장 큰 고민은 '교육비'로 '주거비'를 앞질렀다. 특히 올들어 교육비에 대한 관심이 크게 늘었다.

 

저출생의 원인과 관련한 사회적 요인으론, '직장 내 차별''여성의 경력단절'도 출산의 걸림돌로 작용했다. 저출생 대책으로는 돌봄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가장 높았다. 특히 국공립 어린이집 확대와 아동 수당이 최대 관심사였다.

 

이번 빅데이터에서 '고령화 문제'와 관련해선 '일자리'와 관련한 언급이 가장 많았다. 은퇴 이후 일자리가 사라지면서 생활비, 의료비 등을 충당하기 어려운 상황에 대한 우려를 나타낸 것으로 풀이된다. '건강'과 '독거노인' 문제도 많이 언급됐다. 이에 양질의 일자리 확대, 치매 관리서비스가 최대 관심사로 나타났다.

 

한편 인구정책과 관련해선 '정년 65세 연장'에 높은 관심을 나타냈다. 고령사회 진입에 따라 논의 필요성에 공감하되 기업의 고임금 부담, 청년 세대의 일자리 갈등을 우려 요인으로 꼽았다. 1·2인 가구에 대한 관심도 높았다.

 

 

BEST 뉴스

전체댓글 0

  • 21992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아이 낳지 않는 나라…이유는 일자리, 교육비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