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뇌병변장애인 지원 마스터플랜 수립
5년 간 총 604억 원 투입, 4대 분야 26개 사업 추진
서울시가 생활 전반, 전 생애에 걸쳐 어려움을 겪고 있음에도 그동안 지원 사각지대에 있었던 뇌병변장애인과 가족을 위한 마스터플랜을 전국 최초로 수립했다.
시는 10일 올해부터 5년 간 총 604억 원을 투입해 4대 분야 26개 사업을 추진하는 내용이 담긴 뇌병변장애인과 가족을 위한 마스터플랜을 발표했다.
뇌병변장애인은 뇌졸중, 뇌손상, 뇌성마비 등 뇌의 기질적 손상으로 경제활동은 물론(경제활동 참가율 12.3%) 걷고 움직이고 말하는 기본적인 일상생활에도 현저한 제약을 받는다. 43%가 혼자서 외출조차 불가하며, 10명 중 6명은 중증으로 대부분 언어 등 중복장애와 만성질환을 앓고 있다.
전 생애에 걸친 전문적인 케어가 필요함에도 발달장애인 범주에 포함되지 않아 제도적인 사각지대에 놓여있지만 뇌병변장애인을 위한 전용시설은 13개소에 불과해 가족들의 돌봄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서울거주 뇌병변장애인은 4만1,211명으로 전체 장애인 10명 중 1명(10.5%)에 이른다.
이에 평생 동안 대소변흡수용품(기저귀)을 사용해야 하는 중증 뇌병변장애인을 위해 작년 전국 최초로 구입비 지원을 시작한 데 이어, 인프라, 건강관리, 돌봄, 사회참여, 의사소통 등에 있어 전방위적으로 지원을 확대‧강화해 뇌병변장애인과 가족의 안전하고 행복한 삶을 구현한다는 목표다.
4대 분야는 ▲건강: 맞춤형 건강지원 강화 ▲돌봄: 생애주기별 돌봄 지원 강화 ▲인프라: 특화 서비스 및 인프라 확충 ▲권익: 권익증진 및 사회참여 활성화다.
ⓒ 취업능력을 높여주는 신문 - 직업훈련뉴스 & jobinf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