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4-18(일)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0.03.09 17:22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

 

ADB.png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한국 경제 성장률이 최대 1%포인트 하락하고 취업자 수는 36만명 가까이 줄어들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고용에도 적잖은 영향을 줘 취업자 수가 35만7천명 줄어들 것으로 추산됐다. 이는 전체의 1.19% 수준이다.
      

분야별로 나눠보면 운수업이 가장 큰 타격을 입는다.

운수업 생산액 증가율이 코로나19로 최대 2.41%포인트 하락할 전망이다. 금액으로 따지면 13억2천241만 달러다.

호텔·레스토랑·기타 개인 서비스의 생산 증가율은 2.13%포인트(26억6천120만 달러) 떨어질 것으로 예측된다.

이외에도 농업·광업·채석 분야 생산액은 5억7천510만 달러(1.51%포인트), 기업·무역·공공서비스 생산액은 77억8천741만 달러(1.00%포인트), 경·중공업과 공공사업·건설업은 41억8천481만 달러(0.67%포인트) 각각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ADB가 내놓은 최악의 시나리오는 중국 여행 금지와 내수 감소가 6개월간 이어지고 한국에서도 코로나19가 발병해 3개월간 지속하는 경우를 가정했다.

중국 내 소비와 투자가 평시보다 2% 감소하고, 한국에서도 소비가 2% 줄어드는 것도 전제 조건이다.

이외에도 중국에서 해외로 향하는 관광객은 6개월간 반 토막 나며, 아시아 외 국가에서 동아시아·동남아시아를 찾는 관광객 수도 최상의 시나리오보다도 40% 더 감소한다는 시나리오다. 최상의 시나리오에서는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당시 감소 폭과 동일할 것으로 봤다.

문제는 ADB의 최악의 시나리오가 현재 한국의 상황을 비춰봤을 때 불가능한 가정이 아니라는 점이다.

한국에서는 1월 20일 첫 확진자가 발생한 뒤 한 달 반이 넘도록 코로나19가 확산하고 있다. 확진자 수는 7일 기준 7천41명이다.

국내 소비도 빠르게 얼어붙고 있다.

지난달 셋째 주 기준으로 백화점 매출은 전년 같은 기간 대비 20.6% 감소했고, 음식점 매출도 14.2% 줄었다. 2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96.9로 한 달 전보다 7.3포인트 급락했다.

BEST 뉴스

전체댓글 0

  • 97158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ADB "최악땐 코로나19로 한국 성장률 1%p↓·취업자 36만명↓"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