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내년에 3조2천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취약계층 104만명에게 일자리를 제공한다.
10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 2일 국회 본회의에서 의결된 내년도 예산 가운데 일자리 사업 예산은 모두 30조5천481억원에 달한다. 이 중 정부가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시적 일자리를 제공하는 직접 일자리 사업 예산은 3조1천630억원이다. 이는 올해(본예산 기준 2조8천587억원)보다 10.6% 늘어난 규모다.
직접 일자리 사업 지원 대상은 104만2천명으로, 올해(94만5천명)보다 10.3% 많다.
지원 대상이 늘어난 것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여파로 취약계층의 고용 사정 개선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에 따른 것이다.
내년도 직접 일자리 사업에서 노인 일자리는 78만5천개로, 올해(74만개)보다 6.1% 늘어난다.
노동부는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인구 변화 및 높은 노인 빈곤율 등을 고려해 노인의 사회 활동 등을 지원하는 노인 일자리 사업을 확대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코로나19 사태로 취업 문이 막힌 청년을 대상으로 한 청년 디지털 일자리 사업은 내년에도 계속된다. 이 사업의 내년도 예산은 4천676억원이고, 지원 대상은 5만명이다.
실업자의 구직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고용보험기금으로 지급하는 구직급여의 내년도 예산은 11조3천486억원에 달한다. 월평균 9천억∼1조원이 구직급여로 지급된다는 얘기다.
내년도 구직급여 예산에는 이날부터 고용보험이 적용되는 예술인과 내년 7월부터 고용보험 적용 대상인 특수고용직(특고) 종사자를 위한 예산도 포함됐다.
내년 1월부터는 고용보험의 사각지대에 있는 저소득층 구직자에게 1인당 50만원씩 최장 6개월 동안 구직촉진수당을 지급하고 맞춤형 취업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민취업지원제도도 시행된다.
국민취업지원제도 예산은 8천366억원이고, 지원 대상은 40만4천명이다.
노동부는 내년도 일자리 사업이 방만하게 운영되지 않도록 예산 집행 관리를 강화하고 성과가 부진한 사업은 현장 점검을 통해 개선할 방침이다.
또 고용정책심의회 산하 일자리 사업 평가 전문위원회에 직접 일자리 등 5개 유형별 위원회를 신설해 일자리 사업 성과 평가의 전문성을 강화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