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4-18(일)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1.03.05 10:48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

 

정부 청년 5조9천 청년일자리.JPG

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이 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청년고용 활성화 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한 최악의 고용 한파를 겪고 있는 청년층을 위해 정부가 올해 5조 9000억원을 투입해 104만명 이상의 청년에게 취·창업에 필요한 지원을 제공한다. 기업이 디지털 직무에 청년을 채용하면 인건비를 지원하는 사업은 5만명에서 11만명으로 확대하고,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이 채용한 청년에 대해서도 지원을 받을 수 있다. 공공부문 청년 직접 일자리도 2만 8000여개가 만들어진다.

 

3일 정부는 이같은 내용의 ‘청년고용 활성화 대책’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은 코로나19로 신규채용이 감소하고 대면 서비스업이 침체되면서 청년 일자리 여건이 급격히 악화되면서 정책 역량을 동원해 청년 고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마련했다. 지난해 기준 청년 취업자수는 376만 3000명으로 전년 대비 18만 3000명이 감소했고, 체감 실업률(25.1%)도 전년 대비 2.2%p 증가했다.

 
이번 대책의 핵심은 올해 총 5조 9000억원을 투입해 104만명 이상의 청년에게 취·창업에 필요한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다. 먼저 민간 기업이 보다 많은 청년을 채용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한다. 이에 기업이 콘텐츠 기획, 빅데이터 등 디지털 직무에 청년을 채용할 수 있도록 ‘디지털 일자리 사업’ 인원을 5만명에서 11만명으로 확대한다. 이 사업은 중소·중견기업이 IT 활용 가능한 직무에 청년을 채용할 경우 6개월간 최대 180만원의 인건비 지원하는 사업이다.
 
또 중소기업의 청년 신규채용을 유도하기 위해 특별고용촉진장려금 전체 5만명 중 2만명을 청년층에 우선 지원하고, 청년고용 친화형 R&D 3종 패키지의 적용기간 연장도 검토할 방침이다. 패키지에는 △R&D 정부지원금 4~5억원당 청년 1명 채용의무화 △청년추가채용시 인건비 민간매칭자금으로 인정 △청년신규채용시 2년간 지급 인건비의 일부 기술료 감면 등이 포함됐다.
 
청년 고용 소상공인 1만 6000명에게 청년고용특별자금도 지원하고, 청년 고용유지할 때 대출 이후 1년간 금리를 우대 지원할 계획이다. 또 디지털·비대면, 바이오, 문화·체육·관광 등 새로운 분야에서 전문인력 1만 8000명이 채용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BEST 뉴스

전체댓글 0

  • 51812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정부, 올해 5조 9000억원 투입해 청년 104만명 취·창업 지원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