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가 지역에 거주하는 청년들의 경제적 자립과 정착을 지원하기 위해‘전북형 청년수당’을 3월부터 지급한다.
전북도는 농업과 중소기업 등에 종사하면서 지역에 정착을 원하는 청년 1000명에게 매월 30만원씩의 청년수당을 지급키로 했다고 11일 밝혔다.
지난 2019년 시작된 전북형 청년수당은 첫 해 수혜 인원 500명 중 431명이 전북에 정착하는 효과를 거뒀다. 수혜자들의 95.7%는 수당 지원이 지역 정착에 도움이 됐다고 응답할 정도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올해 청년수당은 대상을 두배로 늘렸다. 기존에 500명이었으나 1000명으로 확대했다. 농업, 중소 제조업, 문화예술인 대상이었던 지원 분야에 임업·어업, 정보통신업, 연구소기업 분야까지 확대했다. 이번 청년수당 대상자 모집에는 1540명이 지원할 정도로 높은 관심을 보였다.
전북도는 선정된 1000명 중 중위소득 65%이하 청년이 43%를 차지하는 만큼 경제적 어려움이 있는 청년들에게 소득보전의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했다.
김용만 전북도 일자리경제본부장은 “도내 지역 주력산업에 종사하는 취업 초기 청년들의 경제적 지원과 안정적 지역정착유도를 통해 사회활동과 지역경제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며 “앞으로 청년 맞춤형 정책사업 발굴을 추진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취업능력을 높여주는 신문 - 직업훈련뉴스 & jobinf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