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임금체불 경험
직장인 2명중 1명
지속되는 경기불황으로 직장인 2명 중 1명은 임금체불을 경험한 적이 있으며 10명 중 6명은 ‘임금체불로 인해 퇴사했다’고 답한 것으로 조사됐다.
임금체불이 된 기간은 평균 1.5개월로 집계 되었으며 체불된 임금의 수위에 대해서는 ‘월급여 전액 미지급’이 46.5%로 가장 많았다. 이어 ‘월급여 일부 미지급’(39.9%), ‘야근수당 및 특근수당 등 각종 수당 미지급’(11.3%), ‘기타 식대 및 유류비 미지급’(1.7%) 등의 순이었다.
임금체불은 중소기업 사업장, 정규직에 집중되어 있었다. 임금체불을 경험한 직장인들이 종사했던 사업장 규모별로는 ‘중소기업’(79.7%)이 ‘중견기업’(16.6%), ‘대기업’(3.7%)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고용형태별로는 정규직(54.8%)이 비정규직(45.2%)에 비해 임금체불이 조금 더 많았다.
임금이 체불되었을 때 대응방법으로는 47.8%가 ‘사장에게 직접 임금을 달라고 요구한다’를 꼽았으며 ‘아무런 대응을 하지 않았다’(26.2%)가 그 뒤를 이어 많은 직장인들이 ‘고용노동부 등 관련 기간 신고했다’(18.9%), ‘직원들과 함께 소송을 걸어 법적으로 대응했다’(5%)와 같이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보다는 소극적인 대처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체불된 임금에 대해서는 57.1%가 ‘전액 모두 받았다’고 답했으며 ‘일부만 받고 일부는 받지 못했다’, ‘전혀 받지 못했다’는 답변도 각각 28.6%, 14.3%에 달했다.
임금체불로 인해 퇴사를 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64.5%가 ‘퇴사했다’고 답했다. 성별로 봤을 때 ‘여자’(66.7%)가 ‘남자’(61.5%)에 비해 임금체불로 회사를 더 많이 그만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현재 경기불황으로 앞으로 임금체불을 경험하게 된다면 어떻게 하겠냐는 질문에 67.7%가 ‘퇴사를 준비한다’고 답했으며 32.3%가 ‘퇴사하지 않고 회사를 위해 더 열심히 일한다’고 답했다.
퇴사를 하겠다고 답한 응답자들은 그 이유로 과반수 정도가 ‘급여가 한번 밀리면 앞으로도 계속 밀릴 것 같아서’(49.7%)를 1위로 꼽았다. 이외에도 ‘당장 생계 유지가 힘들어서’(26.4%), ‘직장에 대한 비전이 보이지 않아서’(14.4%), ‘업무에 대한 의욕이 생기지 않아서’(8.6%) 등이 있었다.
반면 퇴사를 하지 않겠다고 답한 응답자들은 그 이유로 36.7%가 ‘시간을 두고 상황을 파악한 뒤 이직할 예정이라서’라고 답하며 퇴사에 신중한 모습을 보였으며 ‘어디든 어려운 상황은 마찬가지라서’(24.7%), ‘밀린 급여를 받을 수 있다는 믿음이 있어서’(22.3%), ‘어려운 회사를 위해 더 열심히 일 해야겠다 생각해서’(12%) 등을 이유로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