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간호복지사·신림레포츠지도사'…농식품부, 새직업 만들어 고용창출
-2019년 업무보고서에서 일자리 창출계획 발표-
농식품부는 지난 18일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이뤄진 2019년 업무보고에서 새 자격증 도입을 통한 일자리 창출 계획을 발표했다.
우선 농업·농촌의 고용역량을 꾸준히 확충해 청년층의 농업 신규 종사자 수를 올해 1800명에서 내년 3700명, 2022년 1만명으로 늘려갈 계획이다.
우리나라는 최근 반려동물이 빠르게 늘어나고 있으나 미국이나 영국처럼 동물병원에서 진료를 보조하는 동물간호 직종이 없다. 이 같은 동물간호 관련 직업을 제도화해 일자리를 늘리자는 것이다. 농식품부는 내년 중 수의사법을 개정해 관련 자격증을 신설하고 2021년엔 이를 의무화 함으로써 약 2000명의 일자리를 추가 창출한다는 목표다.
민간 양곡관리사 도입도 추진한다. 또 첫해 자격증을 취득한 사람을 내후년부터 권역별로 채용한다. 이들에게 정부 양곡 관리를 맡기고 미곡종합처리장(RPC)·임도정공장 등의 민간채용 활성화도 추진하는 것이다. 또 내년 중 산림레포츠 프로그램을 개발·보급하고 시설 안전을 관리하는 산림레포츠지도사 자격증을 만들어 역시 내후년 중 공공레포츠 시설에 직접 채용키로 했다. 양곡관리사와 산림레포츠 지도사 자격증만으로 일자리가 2022년까지 각각 300개, 500개는 늘어날 수 있다는 게 농식품부의 판단이다.
이 장관은 또 전북 김제와 경북 상주에 스마트 팜 혁신 밸리 4곳을 조성해 2022년까지 스마트 전문인력 500명을 양성하고 이들을 통해 농축산식품 산업 전반으로 스마트화를 확산하기로 했다.
또 축사 청소·소독과 해충 방제를 전문으로 하는 가축방역위생관리업을 신설하고 일정 규모 이상의 농가는 이들 전문업체의 소독·방제를 의무적으로 받도록 할 계획이다. 이미 국가자격인 재활승마지도사도 장애인 재활이란 한정적인 역할을 심리치유 영역으로 확대해 공공형 승마시설에 우선 채용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생활승마서비스업 전체의 활성화도 꾀한다. 농식품부는 이를 통해 2022년까지 2000개 이상의 일자리가 생길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