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31일 광주광역시청에서 열린 광주형 일자리 투자 협약식에 참석해 축하를 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광주형 일자리는 혁신적 포용국가로 가는 매우 중요한 역사적인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31일 광주시청에서 열린 광주형 일자리 투자협약식에 참석해 “(광주형 일자리는)사회적 대타협을 통해 적정임금을 유지하며 더 많은 일자리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게 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문 대통령은 “입춘과 설을 앞두고 국민들께 희망을 드리게 돼 매우 기쁘다”며 “4년 반 동안의 끈질긴 노력이 결실을 맺었다. 드디어 광주형 일자리를 실현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광주는 자동차산업 생산 감소로 지역경제가 침체되며 매년 5000여명의 청년이 빠져가나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그러나 빛그린 산업단지에 10만대 규모의 완성차 생산공장이 들어서기만 해도 1만2000여개의 새로운 일자리가 생긴다. 일자리를 찾아 고향을 떠나야 했던 지역 청년들이 희망을 안고 다시 돌아올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무려 23년 만에 완성차 공장이 국내에 새로 지어진다. 광주형 일자리가 성공하면 국내 공장도 국제 경쟁력을 갖추게 되고 미래차 경쟁력도 대비할 수 있게 될 것”이라며 “비용절감을 위해 해외로 나갔던 다른 제조업 공장들이 국내로 되돌아오게 하는 계기가 될 수도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또 “광주형 일자리는 일자리를 만들어내는 것 이상의 의미가 있다”며 “보다 성숙해진 우리사회의 모습을 반영한다. 산업구조의 빠른 변화 속에서 노사와 지역이 어떻게 상생할 수 있을지 보여주는 모범사례가 될 것이라 확신한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정부는 어느 지역이든 지역 노사민정의 합의로 광주형 일자리 모델을 받아들인다면 성공을 위해 적극 지원할 것”이라며 “특히 주력산업의 구조조정으로 지역경제와 일자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일수록 적극적 활용을 바라마지 않는다”고 당부했다.
또 “5월의 광주가 민주주의의 촛불이 되었듯 이제 광주형 일자리는 경제민주주의의 불씨가 될 것”이라고도 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성급하게 자기 것만을 요구하는 것보다 조금식 양보하면서 함께 가는 것이 결국은 빠른 길”이라며 “광주형 일자리가 사회적 대타협의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 무척 반갑고, 노사 간 양보와 협력으로 좋은 일자리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것을 확인시켜줘 정말 고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