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4-18(일)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19.04.12 09:57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

 

전북 상생형 일자리.jpg

전북도는 11일 도청 종합상황실에서 이원택 정무부지사 주재로 상생형 일자리 모델 개발과 확산을 위한 「상생형 일자리 TF」 제1차 회의를 열었다.

 

전라북도가 실무·현장전문가로 구성된 상생형 일자리 TF 운영을 통해 지역 상생형 일자리 모델 개발과 확산에 나섰다.
이날 회의에는 전북연구원, 전북 인적자원개발위원회, 캠틱 종합기술원, 자동차 융합기술원 등 도내 일자리 관련 전문가와 시·군 일자리 부서장이 참여해 그간 구상했던, 지역 상생형 일자리 모델 추진방안에 대해 열띤 토론을 펼쳤다.

이와 함께 논의된 상생형 일자리 모델은 군산·익산·완주·부안 4개 시군, 5개 모델로 상생형 일자리 TF와 함께 사업계획을 구체화해 실질적인 일자리 창출 돌파구를 제시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날 제시된 상생형 일자리 모델은 (군산) ▲폐쇄된 GM 공장을 활용한 자동차생산공장 위주 일자리 모델, (익산) ▲넥솔론 및 국가식품클러스터 등과 연계한 고용창조형 익산 형 일자리 모델, (완주) ▲수소 연료전지 시스템 생산단지 조성을 통한 일자리 모델, (부안) ▲미래재생에너지 및 수소 전문 기업 유치를 통한 일자리 모델 등이다.

회의에 참석한 상생형 일자리 TF 전문가들은 지역의 아이디어를 상생형 일자리 모델에 대입, 노·사·민·정의 역할 정립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상생형 일자리는 단순히 기업유치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노·사·민·정이 상생협약을 체결, 신규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으로, 광주 형같이 임금삭감만이 상생 협력이 아니며, 고용안정, 노사관계 인정, 생산성 향상, 원청과 하청간의 관계 개선, 인프라 복지 협력 등 지역 여건에 맞는 다양한 상생 협력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에 따라 투자기업이 확정되지 않은 지역은 노사민정 협의가 제한되겠지만, 지역에서 사전에 충분한 논의를 거쳐 기업유치 시, 갈등이 재현되지 않도록 사전에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의견 등이 제시되었다.

 

회의를 주관한 이원택 정무부지사는 "정부가 상생형 일자리를 상반기 중 2곳~3곳을 추가 발굴하겠다는 의지를 보이는 만큼, 군산지역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도 지역 여건에 맞는 상생형 일자리가 확산 될 수 있도록 상생형 일자리 TF, 시·군, 관계기관과 함께, 노력하겠다" 면서 "상생형 일자리 모델 확산에는 공론화가 중요한 만큼 4월 중 「상생형 일자리를 위한 노·사·민·정 심포지엄」을 개최하는 등 사회적 공감대 형성을 위해서도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태그

BEST 뉴스

전체댓글 0

  • 93292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전라북도, 상생형 일자리 모델 개발 본격화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