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4-18(토)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0.10.28 13:19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

 

 

정부 2025 일자리창출.jpg

정부가 2025년까지 연구소기업 1000개를 추가 설립하고, 일자리 1만 개를 창출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8일 대통령직속 일자리위원회와 공동으로 이같은 내용의 연구소기업 혁신 성장 전략을 발표했다.

 

연구소기업은 공공연구기관의 연구성과를 사업화하기 위해 연구개발특구 내 설립한 기업이다. 공공연구기관이 기술공급계약자를 넘어서 주주로서, 기술사업화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사업화 모델이다.

 


이번 전략은 연구소기업 1000호 설립이라는 양적 성장을 넘어, 씨앗기업에서 K-선도 연구소기업까지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하기 위해 마련됐다.


정부는 2025년까지 ▲연구소기업 2배(2000개) 설립, K-선도 연구소기업 신규 100개 육성 일자리 창출 1만명 등 3대 추진전략과 10개 추진과제를 제시했다.

    

고기술 신산업 분야 연구소기업의 창업을 확대하고 전통 제조기업의 혁신 성장 분야로의 전환을 가속화 한다. 글로벌 시장과 민간 벤처캐피탈(VC)의 수요를 반영한 기획형 연구소기업의 창업을 확대하고, 지역 내 특화자원을 활용해 기획부터 투자까지 전 과정을 지원한다.

 


성장단계별 맞춤형 지원체계도 마련한다. 연구소기업의 성장 단계에 따라 '초기→도약→고도화' 단계로 구분해 전주기 맞춤형 지원과 부처별 지원 연계 확대를 통해 기업 역량과 경쟁력을 강화에 나선다.


한국판 뉴딜 10대 대표과제 관련 우수 연구소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해 2025년까지 K-선도 연구소기업 100개를 만드는 'K-선도 연구소기업 프로젝트'를 범부처 협업으로 새로 추진한다.


중·대형 연구소기업의 설립과 투자유치 활성화를 위해 자본금 규모에 따라 10~30%로 돼 있는 출자기관(공공연구기관) 최소설립지분율을 10%로 완화한다. 코스닥 상장 등으로 등록이 해제되는 연구소기업의 졸업제도 도입 등도 추진한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전략의 성장단계별 맞춤형 지원과 범부처 협업을 통한 종합 지원을 차질없이 추진, 연구소기업이 국가혁신과 지역경제 성장의 핵심 자산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BEST 뉴스

전체댓글 0

  • 68452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정부, 2025년까지 연구소기업 1천개 추가 설립, 일자리 1만 개 창출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