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전주시가 장애인 의무고용 확대 등 장애인들의 지속 가능한 일자리 창출을 위한 청사진을 내놨다.
전주시는 25일 시장실에서 한신대학교 산학협력단 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전주시 장애인 일자리 종합계획 수립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가졌다.
지난해 11월 연구용역을 시작한 한신대학교 산학협력단은 그간 장애인 경제활동 현황 조사와 장애인 일자리 욕구 및 실태조사, 국내외 장애인 일자리 정책 및 사례 분석 등을 통해 지속가능한 장애인 일자리 정책방향을 마련해 왔다.
이날 한신대학교 산학협력단은 장애인 지속가능한 일자리를 통해 전주시 노동통합 생태계 구축을 비전으로 제시했다. 뒷받침할 정책과제로 전주시 장애인 고용 정책 수립과 장애인 고용 민·관 거버넌스 체계 구축 등 5가지를 제시했다.
세부사업으로 장애인 직업재활사업 활성화와 장애인 의무고용 확대, 취업 활성화, 중앙정부 정책 연계 장애인 고용 확대, 장애인 고용 인프라 확충 등 4개 분야, 18개 세부사업을 설정했다.
시는 연구용역 결과물이 나오는 대로 전주시 장애인복지위원회의 의견 수렴과 담당부서별 실행가능성 여부에 대한 검토 과정을 거쳐 올 예산 편성 전까지 전주시 장애인 일자리 종합계획을 수립한다. 제도기반 마련을 위한 조례 개정과 예산 확보 등을 통해 체계적으로 사업을 추진한다.
시는 연구용역 결과물이 나오는 대로 전주시 장애인복지위원회의 의견 수렴과 담당부서별 실행가능성 여부에 대한 검토 과정을 거쳐 올 예산 편성 전까지 전주시 장애인 일자리 종합계획을 수립한다. 제도기반 마련을 위한 조례 개정과 예산 확보 등을 통해 체계적으로 사업을 추진한다.
민선식 전주시 복지환경국장은 "장애인 일자리 종합계획을 바탕으로 장애인들의 일자리 만족도를 높이고 욕구에 부응하는 맞춤형 일자리를 제공해 나갈 것"이라며 "장애인들의 지속적인 고용을 도와 경제적 안정을 지원하는 데 힘쓰겠다"고 말했다.
ⓒ 취업능력을 높여주는 신문 - 직업훈련뉴스 & jobinf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